검색결과 리스트
스터디에 해당되는 글 68건
- 2016.07.07 [Open tutorials] data structure 자료구조 수강
- 2016.07.06 [유니티] 초보자를 위한 유니티 C# 스크립트 강좌 수강
- 2016.04.14 Openweather API 2
- 2016.01.12 [논문요약]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2009)
- 2016.01.12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전시물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2) 1
- 2016.01.10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연구 <공생공존>을 중심으로 (2015)
- 2016.01.10 [논문요약] 전시공간과 연계한 증강현실의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2012)
- 2016.01.10 [요약] 연구 노하우
- 2016.01.10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서의 참여유형 카테고리 제안 (2013)
- 2015.11.18 2학기 기초 프로그래밍 수업 종강
글
[Open tutorials] data structure 자료구조 수강
https://opentutorials.org/module/1335
프로세싱에서 array에서 자꾸 에러나서 ArrayList로 바꾸는게 나은가 싶은 생각도 들고
Unity를 위한 C# 강의 듣다가 다시 List에서 막히기도하고
종인이가 방학되면 꼭 들으라고 여러번 강조했던 open tutorial의 자료구조 강의 수강 시작.
다 들으려면 순수 강의시간만 7-8시간 걸린다 ㄷ ㄷ
정리정돈? 구조화? 이런건 진짜 태어날때부터 안되는 사람이지만..
어려운건 열번쯤 반복하면 언젠가 알게되겠지 뭐...
<다음에 다시 챙겨볼 다른 강좌>
배열
https://opentutorials.org/course/1223/5373
Collections Framework
https://opentutorials.org/course/1223/6446
- 첫 강부터 왜이렇게 짠하니...
'스터디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 tutorials] data structure - Linked List, Visualgo (0) | 2016.07.12 |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유니티] 초보자를 위한 유니티 C# 스크립트 강좌 수강
거의 일년전에 배우다만 유니티에 다시 도전. ([지난글] : 유니티4 기초테크닉 80 + Roll a Ball + zombie run)
지난주부터 유니티4 기초테크닉 수업을 첨부터 다시 듣고, 3d 캠퍼스 프로젝트를 살짝 업그레이드했다.
ibatstudio 강좌가 꽤 맘에 들어서 스크립트 강좌도 55불에 결제했다.
(유투브에도 강좌가 꽤 있긴 하지만...돈 들이면 아까워서라도 더 열심히 하겠지.......)
한번 결제해놓으면 동영상 파일을 다운받아서 무제한으로 들을수 있게 되어있다.
단지 아쉬운 건 지난 epub 버젼과 달리 텍스트 버젼이 없어서
추후에 급히 배웠던 내용을 찾아보기가 어려울 것 같음
에버노트에 정리하면서 들어야할듯
http://www.ibatstudio.com/csharp/
자바랑 그나마 조금 비슷해서 다행이다.
'스터디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 유니티5 액션 RPG 전투 입문 강좌 수강 (0) | 2016.07.20 |
---|---|
[Unity] Delegate 와 Event 설명 모음 (0) | 2016.07.20 |
[유니티] 유니티4 기초테크닉 80 + Roll a Ball + zombie run (0) | 2015.08.20 |
[유니티] 유니티 4 기초테크닉 80 (0) | 2015.08.18 |
[유니티] 스터디 시작 (0) | 2015.08.13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Openweather API
-
city
-
temperature
-
temperature.value
Temperature -
temperature.min
Minimum temperature at the moment of calculation. This is deviation from 'temp' that is possible for large cities and megalopolises geographically expanded (use these parameter optionally). -
temperature.max
Maximum temperature at the moment of calculation. This is deviation from 'temp' that is possible for large cities and megalopolises geographically expanded (use these parameter optionally). -
temperature.unit
Unit of measurements. Possilbe valure is Celsius, Kelvin, Fahrenheit.
-
-
humidity
-
humidity.value
Humidity value -
humidity.unit
%
-
-
pressure
-
pressure.value
Pressure value -
pressure.unit
hPa
-
-
wind
-
wind.speed
-
wind.speed.value
Wind speed, mps -
wind.speed.name
Type of the wind
-
-
wind.direction
-
wind.direction.value
Wind direction, degrees (meteorological) -
wind.direction.code
Code of the wind direction. Possilbe value is WSW, N, S etc. -
wind.direction.name
Full name of the wind direction.
-
-
-
clouds
-
clouds.value
Cloudiness -
clouds.name
Name of the cloudiness
-
-
visibility
-
visibility.value
Visibility, meter
-
-
precipitation
-
precipitation.value
Precipitation, mm -
precipitation.mode
Possible values are 'no", name of weather phenomena as 'rain', 'snow'
-
-
weather
-
weather.number
Weather condition id -
weather.value
Weather condition name -
weather.icon
Weather icon id
-
-
lastupdate
-
lastupdate.value
Last time when data was updated
-
'스터디 > Proces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cessing] openCV를 활용한 트래킹 영역 설정 및 왜곡 보정 (0) | 2016.10.21 |
---|---|
[Processing] OpenCV를 활용한 Shape Detection (1) | 2016.10.21 |
[Processing] Computer vision for processing (Daniel Shiffman) (0) | 2016.10.0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논문요약]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2009)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스터디 >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 Papers 3 및 Mac Bundle (0) | 2016.10.02 |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전시물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2) (1) | 2016.01.12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연구 <공생공존>을 중심으로 (2015) (0) | 2016.01.10 |
[논문요약] 전시공간과 연계한 증강현실의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2012) (0) | 2016.01.10 |
[요약] 연구 노하우 (0) | 2016.01.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전시물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2)
'스터디 >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 Papers 3 및 Mac Bundle (0) | 2016.10.02 |
---|---|
[논문요약]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2009) (0) | 2016.01.12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연구 <공생공존>을 중심으로 (2015) (0) | 2016.01.10 |
[논문요약] 전시공간과 연계한 증강현실의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2012) (0) | 2016.01.10 |
[요약] 연구 노하우 (0) | 2016.01.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연구 <공생공존>을 중심으로 (2015)
- 어포던스 이론
- 인터랙션 프로세스
- 관객 참여 유형
- 설계 및 구현
- 인터랙션 프로세스 분석
- 사용자 평가
1. 인터랙티브 아트를 HCI 사용성 관점과 어포던스 방법론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관객 참여를 이끄는 요소와 함께 인터랙티브 아트의 인터랙션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2. 인터랙션 프로세스와 관객 참여 요소를 바탕으로 실제 작품으로 구현된 인터랙티브 아트 [공생공존] 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적 관객 참여로 완성되는 예술 작품
- 기존 예술 매체들과 구분되는 특수성
- 1) 참여 기반
- 2) 비물질적이고 비규정적인 매체의 형태(개념 예술, 공연예술, 홀로그래피 아트 등)
- 3)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의 활용 (컴퓨터 비전과 같은 물성 단위 뿐만 아니라 가상현실, 인공지능, 증강현실, 네트워크 등의 비물성적 기술)
- 4) 학제 간의 활발한 교류
2.2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
- 관객의 상호작용 유도 : 전시 공간의 특수성, 작품의 배치 방법, 구동을 위해 관객에게 요구하는 인터페이스의 종류와 방법, 시청각적 자극 요소, 지속성
- 과정의 개방성 : 관객의 참여로 완성이 되는 과정 상의 미학적 탐구, 열린 구조의 예술
- 체험을 통한 메시지 전달 : 개입과 참여를 통해 작가가 의도한 매체의 의의와 메시지에 접근 가능
- Action Model 사용성 문제 분류, 관찰 돕기위해 정립. 인지적, 물리적, 감각적인 사용자의 행동의 순서에 따라 사용자가 어떤 상호작용을 이루는지에 대한 단계. 순환적.
- 계획 - 변형 - 행동 - 결과물 - 평가
- Outcom은 물리적 행동과 평가 사이에 일어나는 단계로 시스템과 관련이 있으며 사용자 행위와는 분리 됨.
3.2.2.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인터랙션 프로세스
- 기존의 두 모델이 아트에 직접 적용하기는 무리, 실용적 사용성은 물론 미적 쾌감, 개인적 성향, 동기, 기대, 감정 등의 변수 존재
- Zafer Bilda, Ernest Edmonds (2007) Model of engagement: interaction modes and phases
- 의도와 기대감으로 관객 참여 형태를 이해.
- 앞선 모델들과 달리 관객이 아트를 접하는 최초 단계가 Unintended, 의도 없이 조우 하게 됨. 각각 과정 마다 기대감을 부여하고 단계마다 새로운 기대가 생기며 이를 만족시켜야함
- 인터랙션 프로세스와 어포던스 요소를 더해 관객의 유형을 정리
3.3 관객 참여 유형
4장 사례 분석
사용자 평가
(2) (1)에서 분류된 사용자들간의 관계와 세부 조건들 분석 : 분류된 참여자 유형별로 보다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해당 관객층이 왜 그러한 반응을 하였는지에 대한 단계별 심층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시스템과 제품 평가에 활용되는 사용성 평가 설문을 인터랙티브 아트에 적용시켜 설계, 진행하였다.
- Social Affordance : 관객과 관객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터랙션 요소
- Harry Brignull 과 Yvonne Rogers 는 “Enticing People to Interact with Large Public Displays in Public Spaces
- Threshold : 공공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사용자의 인터랙션 단계가 세가지로 각각의 단계 사이에는 일종의 경계 지점이 존재. 사람들이 공공 인터랙션 디스플레이를 꺼리는 이유를 사람들이 느끼는 Social embarrassment, 즉 타인의 시선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즉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여 해당 단계의 threshold 를 극복하지 못하면 다음 인터랙션 단계로 넘어가지 못함
(2) 잠재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지속적 참여 유도 가이드라인
연구 한계 및 향후 과제
- 다수의 적용 사례 분석 및 검증 필요
- 다수의 작품이 전시되는 공동 공간 대상
- 분류된 관객 별로의 특수성을 지닌 어포던스 , 특히 어린이 및 청소년 층
질문 + 관객 참여 유형에서 공공디스플레이가 아닌 개인몰입형 혼합현실이라면 ? Stapleton & Hughes (2007, p330) (1) Swimmers : 평면화면만을 보는 관람객 (2) Divers : HMD를 착용하면서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3) Waders : 다른 사람들이 경험하고 있는 상황을 보는 것에 만족 브렌다 로렐 1인칭 경험 : 몰입을 일으키는 강력한 참여 정도 3인칭 경험 : 전통 미디어의 심리적 상호작용의 경험 HCI에서, 2인칭 경험은 컴퓨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반응하여 결과 출력, 1인칭 경험은 가상 현실 속으로 들어가 다른 주체 혹은 가상 환경과 접촉하여 실제처럼 미디어를 경험 Murray (1997), 박동숙전경란 (2005, 디지털/미디어/문화) (1) 하이퍼텍스트 유형 : 이야기 전개 과정에서 분기점에서 선택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으로 열려있는. 게임의 요소를 활용한 영화의 형태. (2) 가상현실 유형 : 1인칭으로 가상현실 속에서 사건을 유발하거나 허구적 세계를 탐험하는 참여 방식. 영화적 환경에서 구축한 게임의 형태. + 체화형(Embodied) : 스크린 기반이 아닌 보다 실제적 참여 경험을 통해 성취 (Binder et el, 2009, p176) 인터랙티브 드라마 구조 “인식 - 재현 - 액션”의 반복. 이 반복의 하ㅗㄹ동에서 관람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적인 것으로, 사용자의 역할을 넘어 생산자로 전환됨. (Branda Laurel, 2008, p.65) |
'스터디 >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요약]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2009) (0) | 2016.01.12 |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전시물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2) (1) | 2016.01.12 |
[논문요약] 전시공간과 연계한 증강현실의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2012) (0) | 2016.01.10 |
[요약] 연구 노하우 (0) | 2016.01.10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서의 참여유형 카테고리 제안 (2013) (0) | 2016.01.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논문요약] 전시공간과 연계한 증강현실의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2012)
'스터디 >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요약]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2009) (0) | 2016.01.12 |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전시물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2) (1) | 2016.01.12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연구 <공생공존>을 중심으로 (2015) (0) | 2016.01.10 |
[요약] 연구 노하우 (0) | 2016.01.10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서의 참여유형 카테고리 제안 (2013) (0) | 2016.01.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요약] 연구 노하우
- 아이디어는 어떤 사고의 끝에서 나오는가?
- 내 자유로운 사고를 막는 것은 무엇이지?
- 어떻게 그것을 해결했지?
- 박사과정 학생이 유의해야 하는 점 thoughts.chkwon.net/phd-advisor-story/
-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 지도교수님 이야기 thoughts.chkwon.net/phd-advisor-story/
- 지도교수에게 좋은 이메일 보내는 방법 thoughts.chkwon.net/good-questions-by-email/
- 나는 과연 대학원에 가야 하는 걸까 http://gradschoolstory.net/yoonsup/2-2/
'스터디 >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요약]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2009) (0) | 2016.01.12 |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전시물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2) (1) | 2016.01.12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연구 <공생공존>을 중심으로 (2015) (0) | 2016.01.10 |
[논문요약] 전시공간과 연계한 증강현실의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2012) (0) | 2016.01.10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서의 참여유형 카테고리 제안 (2013) (0) | 2016.01.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서의 참여유형 카테고리 제안 (2013)
- 크리스 크로포드 (2005, 게임디자이너), 컴퓨터의 상호작용성을 이용한 서사의 한 형태.
- 뉴미디어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소통 및 통제의 권한을 부여하는 내러티브 엔터테인먼트.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한 문학, 게임, 영화, 공연 예술 등의 영역을 대상. 오늘날에는 비디오게임. 다중접속 온라인 게임, 인터넷,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크로스 미디어 프로덕션, 스마트 토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인터랙시트 시네마, 가상 및 증강 현실에서의 내러티브 실험, DVD, 키오스크에서의 인포테인 먼트 등의 다양한 영역
- 닫힌 상호작용성 (Closed Interactivity) : 고정된 요소들을 고정된 연결구조에서 사용
- 열린 상호작용성 (Open Interactivity) : 전체 대상의 요소들과 구조들이 모두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반응하는데에 적용되는 것
- 1인칭 경험 : 몰입을 일으키는 강력한 참여 정도
- 3인칭 경험 : 전통 미디어의 심리적 상호작용의 경험
- HCI에서, 2인칭 경험은 컴퓨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반응하여 결과 출력, 1인칭 경험은 가상 현실 속으로 들어가 다른 주체 혹은 가상 환경과 접촉하여 실제처럼 미디어를 경험
- 스크린 기반이 아닌 보다 실제적 참여 경험을 통해 성취 (Binder et el, 2009, p176)
- 인터랙티브 드라마 구조 “인식 - 재현 - 액션”의 반복. 이 반복의 하ㅗㄹ동에서 관람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적인 것으로, 사용자의 역할을 넘어 생산자로 전환됨. (Branda Laurel, 2008, p.65)
- 참여자의 자유로운 행위와 개입에 따라 개인적 경험으로써 내러티브를 구축하되 극적(dramatic) 몰입 경험도 동시에 가능한 ‘체화형’으로 발전해야
- 공간성, 동시성, 이동성, 사회성, 참여성을 추구 (김영용, 2007)
- 숫자적 재현, 모듈화, 자동화, 다양성, 트랜스코딩 (뉴미디어의 5가지 원리, 컴퓨터라이제이션 되고 있는 문화의 일반적 경향, 마노비치, 2007)
- 김영용,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Brenda Laurel, 컴퓨터는 극장이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F.Sparacino ․ G.Davenport ․ A.Pentland, Media in performance : Interactive Spaces for Dance, Theater, Circus, and Museum Exhibits, MIT Media Lab, 2007.
'스터디 >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요약]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2009) (0) | 2016.01.12 |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전시물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2) (1) | 2016.01.12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연구 <공생공존>을 중심으로 (2015) (0) | 2016.01.10 |
[논문요약] 전시공간과 연계한 증강현실의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2012) (0) | 2016.01.10 |
[요약] 연구 노하우 (0) | 2016.01.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2학기 기초 프로그래밍 수업 종강
CT학생 중 비 이공계생들을 대상으로하는 무학점 수업인 기초 프로그래밍 이번 학기 수업이 오늘 끝이 났다. 이제 앞으로는 아무도 이렇게 친절하게 알려주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 너무 무섭고 들판에 내던져진 기분이다.
아직까지 제대로 할줄 아는게 없다고만 생각했는데 오늘 배운걸 정리하려다 보니까 과거를 거슬러가서 나의 프로그래밍 도전의 역사를 뒤돌아보게 되었다. (원래는 방학때 1학기 결과물과 과정들을 프로젝트 별로 블로그에 정리 하려했으나........)
아래는 생각나는대로 써본 프로그래밍 삽질과 도전의 역사
- 대학교 1학년. 프로세싱 첫 만남. 점찍고 색칠하는것 외에는 이걸로 뭘 할수 있는건지 왜 하는건지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함.
- 대학교 3학년. 플래시 사이트를 만들어야하는데 액션스크립트를 다룰줄 몰라서 그냥 손 노가다로 인터랙션을 일일히 연결함
- 회사에서 UX디자인을 해야하니까 전반적인 IT기술에 대해 공부할 수 밖에 없고, 개발자와 함께 일하고 그들의 사고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했음
- 오픈컬리지에서 Xcode 2-3번 따라 해보기. 코딩에 대한 이해는 없는 상태이고 UI적인 경험 정도
- 대학원 입학 직전, Code.org에서 유치원 및 초딩을 위한 소프트웨어 코스를 간단히 들어봄. 언어는 모르지만 함수, 조건, 반복문 등의 개념과 유용성에 대해서 처음으로 이해함. 왠지 이걸 잘 다루게되면 디자이너들이 하는 삽질들이 언젠가 좀 줄어들지 않을까하는 희망같은 것을 보았음.
- 대학원 입학 진짜 바로 직전, 5일짜리 워크샵에 참여해서 Arduino를 처음 만져봄. 와 LED에 불이 켜진다..
- 혼자 집에서 프로세싱 책 사서 1/3 쯤 따라해봄. 이미지 드로잉 & 움직임 정도.
- 입학해서 기초프로그래밍 수업에서 Java를 통해 주요 구문들과 객제지향..함수..클래스를 접하지만 벽을 느낌.. 혼신의 힘을 다해 쉽게 설명해주는 익범&진우 스승 감사...
- 직접 코드를 입력하지 않고 노드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하는 Max/msp를 배워서 완결성있게 동작하는 무언가를 첨으로 완성해봄 (아두이노, 웹캠 연결)
- 이래서는 안되겠다 싶어 방학때 다시 프로세싱 책 사서 1/2쯤 따라해보다가 함수와 알고리즘에서 또 막힘..(역시 난 안돼)
- 방학 때 프로세싱 위주로 작업하는 우리 랩 사람들과 함께 유니티 3D를 스터디 하기 시작했으나 2개 예제 정도 같이 해보고 중단된 상태.
- 방학 때 동아리 프리스텝에서 개인 프로젝트로 제안한 책보게하는 아이디어제품을 아두이노, makey makey, max/msp로 인터랙티브 프로토타이핑까지 해보고 또 홀딩
- 2학기가 시작되고 1학기때 들었던 기초 프로그래밍 수업을 한번더 재수강(?) 다시 들으니 90프로 정도 잊혀졌다. 반복하면 안하는것보다는 낫겟지........ 지난학기보다는 정올 사이트에서 예제를 직접 풀어보는 방식을 많이 도입. 처음 할때보다는 그래도 어떻게 해야겠다는 구조는 조금 잡히는 편인데 여전히 문법이 익숙하지 않음
- 산디과 학부 청강하면서 아두이노의 기초와 전자공학의 아주아주 기초를 다시 시작함. 납땜은 할수 있게 됐지만 어쨌든 복습을 잘안해서 이해도는 20프로 정도.......
- 산디과에서 프로세싱 진도도 나가고 있지만 수업시간에 대학원수업 논문 제출, 행사, 등등의 핑계로 과제 제출도 못하고 수업도 제대로 못들어서 이제 점점 포기 상태..
- 3D인터랙션에서 하드웨어가 들어가야해서 납땜도 엄청 많이하고 제품 구성에 대한 고민과 연습 많이 하기 시작, 시간은 여전히 오래 걸리지만 실험에 필요한 간단한 기능은 스스로 구현할 수 있게 됐다
- 3D인터랙션에서 AR, VR의 구현 원리, 알고리즘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하게 됐는데 (내가 직접 만들건 아니지만 기획, 인터랙션 디자인, 시나리오 작성, 논문 작성 등 모든 단계에서 기술적인 이슈가 항상 크게 좌우하기 때문에 꼭 잘 알아야한다) 유치한 질문을 할때마다 기초프로그래밍 스승님이신 전선생이 수업때처럼 원리를 잘 설명해줘서 너무 좋드아..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estep] R studio 웹크롤링 맛보기 (0) | 2015.11.16 |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