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전시에 해당되는 글 11건
- 2018.01.06 2015년 전시 결산
- 2016.01.14 [전시] 151017 아티언스 대전
- 2016.01.12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전시물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2) 1
- 2016.01.10 [논문요약] 전시공간과 연계한 증강현실의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2012)
- 2016.01.02 [전시] 2016 타이포잔치
- 2015.02.05 [전시] 즐거운 나의 집
- 2015.01.27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 2015.01.27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 2014.12.22 [LONDON] 6. Natural History Museum
- 2011.05.02 [전시] 110501 디자인앤아트페어 DAF 2011
글
2015년 전시 결산
나름 바지런하게 대전과 서울을 오가며 전시 보러 다녔었던 2015년
'인사이트 >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 151017 아티언스 대전 (0) | 2016.01.14 |
---|---|
[전시] 2016 타이포잔치 (0) | 2016.01.02 |
[전시] 즐거운 나의 집 (0) | 2015.02.05 |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0) | 2015.01.27 |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0) | 2015.01.2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전시] 151017 아티언스 대전
'인사이트 >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전시 결산 (0) | 2018.01.06 |
---|---|
[전시] 2016 타이포잔치 (0) | 2016.01.02 |
[전시] 즐거운 나의 집 (0) | 2015.02.05 |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0) | 2015.01.27 |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0) | 2015.01.2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전시물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2)
'스터디 >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 Papers 3 및 Mac Bundle (0) | 2016.10.02 |
---|---|
[논문요약]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2009) (0) | 2016.01.12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연구 <공생공존>을 중심으로 (2015) (0) | 2016.01.10 |
[논문요약] 전시공간과 연계한 증강현실의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2012) (0) | 2016.01.10 |
[요약] 연구 노하우 (0) | 2016.01.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논문요약] 전시공간과 연계한 증강현실의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2012)
'스터디 >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요약]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2009) (0) | 2016.01.12 |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전시물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2012) (1) | 2016.01.12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연구 <공생공존>을 중심으로 (2015) (0) | 2016.01.10 |
[요약] 연구 노하우 (0) | 2016.01.10 |
[논문요약]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서의 참여유형 카테고리 제안 (2013) (0) | 2016.01.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전시] 2016 타이포잔치
2015년 12월 26일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2016 타이포 비엔날레
'인사이트 >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전시 결산 (0) | 2018.01.06 |
---|---|
[전시] 151017 아티언스 대전 (0) | 2016.01.14 |
[전시] 즐거운 나의 집 (0) | 2015.02.05 |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0) | 2015.01.27 |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0) | 2015.01.2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전시] 즐거운 나의 집
150111
• 전시명: 즐거운 나의 집(Home, Where the Heart is)
• 전시기간: 2014년 12월 12일(금) - 2015년 2월 15일(일)
• 관람시간: 11:00-19:00(입장마감 18:30)
(매주 월요일 및 1월 1일 휴관, ‘문화가 있는 날’ 12월 31(수), 1월 28일(수) 9시까지 연장 운영)
• 관람료: 무료
• 전시장소: 아르코미술관 제 1,2 전시실, 2층 아카이브실 외부, 1층 스페이스 필룩스
• 도슨트 프로그램: 평일(화-금) 2, 4시 / 주말(토-일) 2, 4, 6시
(정규시간 이외의 투어는 사전 예약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02-760-4614)
•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 기획: (주)글린트
• 후원: 까사미아, 대림B&Co
• 문의: 아르코미술관 학예실 02-760-4608
http://www.arkoartcenter.or.kr/nr3/?c=2/12
• 참여작가 및 전문가
SOA, 구송이, 금민정, 김기조, 김승현, 도난주, 문성식, 박소연, 박창현, 박혜선, 백종관, 베리띵즈, 비주얼스프럼, 서승모, 서울소셜스탠다드, 스튜디오 152, 안지용, 염상훈, 옵티컬레이스, 우지현/최영준, 원경, 윤근주/황정환, 전창미, 정재호, 정진수, 조혜진, 한수정
아르코미술관은 2014년 기획 공모에 선정된 (주)글린트와의 협력기획전 <즐거운 나의 집>을 오는 12월 12일부터 내년 2월 15일까지 개최한다. <즐거운 나의 집>은 모두가 가지고 있는 ‘기억의 집’, ‘현재 사는 집’, ‘살아보고 싶은 꿈 속의 집’이라는 세 종류의 집을 미술관 1, 2층 뿐 아니라, 아카이브실 및 스페이스 필룩스까지 확장하여 전시한다. 시각예술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 10인과 건축가 그룹, 디자이너 그룹 및 만화가, 영화감독 등이 참여하며, 이 밖에 집과 관련된 서적 및 도큐멘테이션 등 다양한 아카이브 자료를 선보인다. <즐거운 나의 집>은 삶의 터전으로서의 집보다 '자산'으로서의 집만 생각하며 살아온 많은 사람들에게 ‘내 집은 어떠한지, 나의 삶은 어떠한지’ 스스로 묻고, 살아보고 싶은 이상적인 집을 어떻게 현실의 즐거운 나의 집으로 실현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즐거운 나의 집> 전시소개
• ‘집’에 대한 세 가지 이야기 - 살았던 집, 살고 있는 집, 살고 싶은 집
전시는 건축가 고 정기용이 언급한 ‘집’에 대한 이야기에서 출발한다. “우리 삶에는 유년시절을 보낸 기억의 집, 현재 사는 집, 살아보고 싶은 꿈 속의 집이 있다. 이 세 가지 집이 겹친 곳에 사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 그것이 불가능할 때는 현재의 ‘집’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야 한다.”
사람은 살면서 이렇듯 세 종류의 집에 살게 된다. 전시 <즐거운 나의 집>은 이렇게 모두가 가지고 있는 이 세 종류의 집이 미술관과 그 외의 공간에 조성되면서 건축 및 사진, 영상, 설치, 회화,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이 참여하여 상기한 세 가지 집에 대한 이야기들을 펼쳐 보이는 전시이다. 이 전시를 통해 누구나 마음속에 있는 집에 대한 추억을 떠올리며 지금의 집과 삶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살아보고 싶은 꿈 속의 집을 어떻게 현실의 ‘즐거운 나의 집’으로 실현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계기를 얻는다.
한편 전시와 함께 진행되는 부대행사인 워크숍 <어떤 집에 살고 싶으세요>를 통해 가족 또는 연인과 함께 가치관과 신념을 지켜가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시스템으로서 ‘즐거운 나만의 집’을 설계해 볼 수 있다. 실제 공간을 설계한다기 보다는 각자가 정의하는 ‘가족’을 형성하는 문화적 장치를 창조하는 데 의의를 둔다. 또한 전시 기간 중 열리는 두세 차례의 강연을 통해 건축으로서의 집이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 인문학적인 맥락에서 ‘가족’과 ‘집’이 지니는 함의를 깊이 있게 살펴본다.
• 전시제목, ‘즐거운 나의 집’
‘즐거운 나의 집’이라는 전시명은 집에 대한 일차적 반응을 ‘즐거움’에서 찾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으며, 고유한 가치가 상실되어 가고 점차 용도와 금전적 가치로 퇴색되어 가는 집에 대한 역설적 표현이기도 하다.
<즐거운 나의 집>은 전통적인 ‘가족’개념의 해체 위기와 이에 수반되는 주거문화의 변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상실해가는 근본적인 ‘집’의 의미, 구성원의 화합과 소통, 근원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물리적인 기본단위로서의 집을 보다 궁극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한 현미경이다. 즉, ‘집’의 기능, 그 안에서 파생되는 삶의 윤택함과 행복함에 대해 질문하고 그에 대한 각자의 기억과 경험을 소환하며, 이로 인해 관람객 각자가 그리는 ‘즐거운 집’을 재정의하고,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이 아닌 하나의 문화로서 각자의 신념과 가치관이 담긴 ‘즐거운 집’을 설계하는 데 힘을 보태는 전시이다.
□ <즐거운 나의 집> 전시구성 및 주요 작품
• ‘살았던 집’
제1전시실은 집을 이루고 있는 공간들을 다시 살펴보며, 공간을 통해 유년시절 기억의 집을 추억하는 곳이다. ‘미술관을 집으로 만든다’는 컨셉 하에 공간이 지니는 의미, 상징, 기억에 따라 각 공간을 분리하면서, 그에 걸맞은 작가들의 작품과 기억을 환기시킬 수 있는 설치, 그리고 집의 기능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집’으로 변모한 미술관 안에서 유발되는 행위들은 따뜻하고 즐거웠던 집의 기억을 소환하며, 집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그 기능성 이외에 다양한 감각들을 일깨우는 독특한 장치로 작용하고,나아가 각 구성원들의 내밀한 소통을 유발하는 촉매제로서의 또 다른 기능도 건축구조 및 시각예술 작품을 통해 경험할 수 있다.
꼭 다시 가지고 싶은 공간, 웅크릴수있는 다락방
• ‘살고 있는 집’
제2전시실에서는 다양한 미디어와 바닥에 맵핑된 그래픽컬한 좌표 등으로 제시되는 구체적인 통계, 실제사례를 통해 우리는 왜 이런 집에 살게 되었고, 어떤 집에서 살고 있는지,집을 둘러싼 여러 가지 사회적 이해관계를 객관적인 시각으로 직시하게 된다. 즉, 주택, 다세대주택, 아파트, 고시텔 등 다양한 주거형식을 상징하는 여러 개의 대문을 통해 입장하고 따라가면 소득수준, 경제적‧사회적 능력 등 구체적인 통계에 따라 현실적으로 구입 혹은 임대 가능한 주거형식이 정해진다. 이렇게 제 2전시실은 관객들 저마다 다른 환경적 요인에 의한 주거형태, 즉 대물림되거나 소득수준에 따라 결정지어지는 주거형태에 대한 현실을 직시한 이후, 어떠한 형태의 대안적인 집의 형태를 그려볼 수 있는지 판단의 척도가 된다.
• ‘살고 있는 집’에서 ‘살고 싶은 집’으로
아카이브실 외부에서는 살았던 집과 현실 속의 집을 경험한 관객들이 살고 싶은 집의 영역으로 진입하기 전에 잠시 쉬어갈 수 있게 조성된 별도의 휴게공간이다. 이곳에서 관객은 전시와 연계해 조성된 캐노피베드에 누워서 집과 관련된 소리들을 듣고, 영상이나 슬라이드로 상영되는 전시관련 도큐먼트를 접하며 앞선 체험들에 대해 환기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한다.
• ‘살고 싶은 집’
제3전시실(1층 스페이스 필룩스)에서는 앞서 제시한 현실적인 집의 대안적 형태로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대안주거형태의 사례들이 디자인물, 영상, 서적 등 도큐먼트로 선보여진다. 즉, 찰스 임스의 <House after five years of living>, 예스퍼 바하트마이스터의 <Microtopia>, 헬렌 & 스코트 니어링 <조화로운 삶>, 닉 올슨 & 릴라 호르위츠 <Makers>, 헨리 데이빗 소로우 <월든>, 구보타 히로유키 《셰어하우스》, 권산 《아버지의 집》 등 전시를 위해 리서치 한 50여권의 책들과 영상을 비치한다. 그리고 여러 가지 이유로 실현되지 못했지만 건축가와 건축주의 대화를 통한 삶의 기록으로 만들어진 집의 평면도를 함께 전시한다. 이와 더불어, 시민들이 참여하는 미래에 살고 싶은 집을 워크숍 형태로 진행하며 그 결과물을 함께 선보이는 관객참여형 전시공간을 마련한다. 즉, 실제 학생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어떤 집에 살고 싶으세요’ 워크숍을 통해 내가 살아보고 싶은 집을 구체적으로 그려보며 전시가 전달하고자 했던 ‘즐거운 나의 집’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한 번 정리한다. 그리고 그동안 건축가들과 참여자들이 만들어 낸 "살고 싶은 집" 결과물의 도면과 모형 사진, 이미지 등이 전시된다. 제 3전시실은 이렇듯 미래에 내가 살고 싶은 집, 자연발생적인 게토지역부터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가진 주택정책까지 다양한 대안적 주거 공간을 찾아볼 수 있는 공간이다.
□ 전시 연계 프로그램
[작가와의 대화]
참여작가: 베리띵즈, SOA, 옵티컬레이스, 정재호, 정진수
일시: 2014. 12. 20(토) 1pm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라운드테이블] 대안주택에 대한 현실적 모색
스피커: SAAI(이진오), SOA(강예린, 이치훈), OBBA(곽상준, 이소정), 효자동 건축(서승모), EMA건축(이은경)
일시: 2015. 1. 10(토) 1pm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강연] 내가 살고 싶은 집 >>>신청하기
강연자: 김서령(오래된 이야기 연구소 대표)
일시: 2015. 2. 7(토) 오후 2시로 변경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워크숍] 어떤 집에 살고 싶으세요
중고생이나 신혼부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살고 싶은 집'을 상상하고 설계해보는 워크숍
>>>워크숍을 신청하고 싶으신 분은 연락처와 함께 '살고 싶은 집'에 대한 생각 또는 신청동기를 적어 아르코미술관 이메일(arko_art@naver.com)로 보내주세요.
가족단위(신혼부부 포함) 대상
*최대 4팀 선착순 예약
일시: 12월 13일(토) 11am, 12월 20일(토) 11am, 1월 27일(화) 4pm 중 선택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 모든 워크숍이 마감되었습니다.
중고등학생 대상
*최대 10명 선착순 예약
일시: 2월 7일(토) 11am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 모든 워크숍이 마감되었습니다.
'인사이트 >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 151017 아티언스 대전 (0) | 2016.01.14 |
---|---|
[전시] 2016 타이포잔치 (0) | 2016.01.02 |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0) | 2015.01.27 |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0) | 2015.01.27 |
[전시] 110501 디자인앤아트페어 DAF 2011 (0) | 2011.05.0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150118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전시기간 2014-12-16 ~ 2015-02-15
전시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2-3층
참여작가 곤살로 마분다, 논시케렐로 벨레코, 닉 케이브, 라시드 코라이시, 라일 애쉬톤 해리스, 린다 데이 클락, 빅터 에크푹, 스티븐 버크스, 아드모어 세라믹 아트, 안톤 카네마이어, 우블레 비즈, 잉카 쇼니바레, 조디 비버, 조엘 안드리아노메아리소아, 존 아캄프라, 케빈 비즐리, 케힌데 와일리, 크리스 오필리, 티에스터 게이츠, 행크 윌리스 토마스, 히스 내쉬
도슨트 11시, 14시, 16시
관람료 무료
<아프리카 나우>는 아프리카의 정치적 상황과 전통문양의 의미론적, 심미적 교차점에 위치하는 작가 20여명의 작품 100여점으로 구성되어, 아프리카에 뿌리를 둔 동시대 미술을 소개하고 탈식민주의, 디아스포라, 다문화주의에 근간한 그들의 예술적 지표를 제시하는 전시이다.
대표 작가로는 80년대부터 영화를 통해 흑인 인권문제를 다루어온 존 아캄프라, 아프리카천을 입은 마네킹을 통해 백인 중심 문화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가한 잉카 쇼니바레, 2003년 베니스비엔날레 영국 대표작가로 참여한 크리스 오필리 등의 영국 작가,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통한 비판적 개입으로 유명한 티에스터 게이츠, 장식적 배경 앞에 영웅적 포즈를 취한 거리의 흑인들을 그린 케힌데 와일리, 광고사진을 통해 인종문제를 다루어온 행크 윌리스 토마스, 아프리카 제식을 연상시키는 가면과 의상을 입고 퍼포먼스를 펼치는 닉 케이브 등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흑인 작가 그리고 아프리카에 거주하며 후기식민시대 아프리카 대륙 내의 민족주의나 종교분쟁에 관한 서사를 다루는 곤살로 마분다, 조디 비버, 논시케렐로 벨레코 등이 포함된다.
이번 전시는 유럽 및 미국의 제국주의와 노예제도에서 비롯된 흑인 디아스포라 예술의 의의를 고찰하고 탈식민주의의 근간을 탐구하여 서구중심 사상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한다. 이와 함께, 전시 연계 학술행사인 <글로벌 문화형성과 디아스포라의 기억들: 이주, 문화지리, 문화정체성>에서는 전 지구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인종문제 및 다민족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점검해 봄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점차 본격화되고 있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의식과 이에 따른 글로벌 문화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논의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인사이트 >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 2016 타이포잔치 (0) | 2016.01.02 |
---|---|
[전시] 즐거운 나의 집 (0) | 2015.02.05 |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0) | 2015.01.27 |
[전시] 110501 디자인앤아트페어 DAF 2011 (0) | 2011.05.02 |
[전시] 훈데르트바서 - 우표에 대한 그의 철학 (0) | 2011.03.2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150118
로우테크놀로지: 미래로 돌아가다
전시기간 2014-12-09 ~ 2015-02-01
전시장소 서울시립 미술관 서소문본관
전시시간 화~금 10:00~20:00, 토・일・공휴일 10: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1・3주 화요일 뮤지엄데이 22:00까지
참여작가 육태진, 홍성도, 문주, 김태은, 박기진, 신성환, 양정욱, 이배경, 이병찬, 이예승, 이원우, 정성윤, 정지현
관람료 무료
홈페이지 sema.seoul.go.kr
터치스크린, 구글 행아웃, 3D미니어처, 사물인터넷 등 각종 최첨단 테크놀로지들이 보편화되고 일상생활에서 구현되는 시대에 오히려 움직임의 기원이나 기계적인 매커니즘에 경도되는 최근 미술의 단면을 보여주는 <로우 테크놀로지: 미래로 돌아가다>展를 준비한다. 첨단의 하이 테크놀로지들이 만개한 시대에 로우 테크놀로지를 고민하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왜 젊은 예술가들은 로우 테크놀로지에 관심을 갖는가, 나아가 테크놀로지는 예술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라는 물음들에서 이 전시는 시작한다.
테크놀로지가 발전하면서 미술은 변해왔다. 물감과 염료 기술의 발전으로 회화 기법이 발전해왔고, 기술복제시대가 낳은 사진과 영화는 필연적으로 미술의 방향을 미술이라는 매체 자체에 대한 탐구의 여정으로 바꾸어냈으며, 0과 1이라는 디지트에 의해 비물질화되고 융합되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미술을 ‘데이터와 알고리듬에 기반한 데이터의 변형’이라는 전혀 새로운 조건 아래 놓는다. 물론 그러한 수많은 갈래의 변화양상들을 단순화하기 어렵고, 미술의 변화가 단지 기술이라는 요인만으로 추동되지도 않는다. 하지만 그 모든 미술 자체 변화의 흐름에 기술은 그 배경과 조건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세계적인 IT 강국으로 꼽히며 얼리 어답터들이 넘쳐나는 한국에서 특히 젊은 작가들이 이러한 기술적인 변화와 그것이 만들어내는 예술・사회적 환경에 둔감할 리 없다. 예술과 기술이 서로를 간섭하고 넘나드는 현실 속에서 중요한 것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기술의 뼈대로 돌아가 그것을 사유하는 일이다. 도구적 목적을 벗어난 예술적 기술의 가능성을 희망했던 하이데거가 테크놀로지가 테크네(techné)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듯이 말이다. 그는 고대 그리스의 테크네 개념에는 수공적인 기술의 의미뿐만 아니라 고차원적 예술(포이에시스, Poiesis)의 의미, 그리고 인식을 해명하며 열어젖히는 탈은폐의 힘까지 들어있다고 보았다. 기술을 기술로서 넘어서는 하이데거의 고민을 김태은, 박기진, 신성환, 양정욱, 이배경, 이병찬, 이예승, 이원우, 정성윤, 정지현 10명의 젊은 예술가들의 작업과 그에 선행하는 육태진, 문주, 홍성도의 작업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기계적인 매커니즘 자체에 집중하면서도 일상과 연결시켜 테크놀로지의 기능을 변환 시키는 정지현・양정욱,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현실과 가상, 과학과 예술의 경계를 묻는 김태은・박기진, 단순한 기술을 이용해 몽상적이고 유머러스한 공간을 만들어내는 신성환・이원우, 기술을 통해 현대의 메트로폴리스적 삶의 단편들을 은유하는 이배경・이병찬, 그리고 관람객의 참여로 완성되는 기계장치를 통해 매체 자체를 생각하게 만드는 정성윤・이예승까지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10명의 젊은 작가들은 저마다 테크놀로지들과의 결합을 통해 시각적이고 지적인 고민과 유희를 지닌 작품을 선보일 것이다.
특히 겨울 방학을 맞이하여 관람객들이 작품의 일부를 전시장에서 직접 조작해 봄으로써 로우 테크놀로지를 고안하고 작동시키는 작가들의 창작 과정-형상화, 패턴화, 유추, 모형, 놀이, 변형, 통합 등-에 참여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로우 테크놀로지와 하이 테크놀로지, 즉, 낡은 매체와 새로운 매체는 서로 모순과 대립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맺어간다. 서로 내용이 되기도 하고, 형식이 되기도 하며 낡음과 새로움의 관계를 끊임없이 현재를 재정립해가는 셈이다. 지금, 여기의 로우 테크놀로지 미학을 점검해봄으로써 이 시대 테크놀로지와 예술이 갖는 의미와 방향에 대해 성찰해보고자 한다.
'인사이트 >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 2016 타이포잔치 (0) | 2016.01.02 |
---|---|
[전시] 즐거운 나의 집 (0) | 2015.02.05 |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0) | 2015.01.27 |
[전시] 110501 디자인앤아트페어 DAF 2011 (0) | 2011.05.02 |
[전시] 훈데르트바서 - 우표에 대한 그의 철학 (0) | 2011.03.2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LONDON] 6. Natural History Museum
런던 사진을 정리하다보니 단일 장소에서 가장 많은 사진을 남긴 곳이 바로 자연사박물관이었다!
동식물을 좋아하는 탓도 있긴하지만 박물관 건물과 인테리어도 멋있고, 내부의 컬렉션의 종류와 개체수도 엄청나게 다양한데다, 단순한 나열방식이 아니라 각 주제에 맞는 다양한 방식의 경험을 할수있도록 구성이 알차게 되어있어서 디자인 관점에서 배울점도 많은 곳이었다
모든 전시실을 대충 둘러보는데에도 반나절이상의 시간이 꼬박 걸리기 때문에 여기 어린이들처럼 일년에 몇번씩 와보지 않고선 그 진가를 알 수 없을것 같다. (런던에 살아보고 싶은 이유 또 하나 추가요..)
Natural History Museum Branding
일단 로고 디자인도 맘에 든다 (런던 주요 박물관들은 브랜딩이 정말 잘되어있다). 저 N 글자 안에 다양한 이미지와 텍스쳐들을 넣어 응용하는 방식이다. 자연사라는 주제 자체가 한가지의 이미지로 대표될수가 없기 때문에 적절한 방식을 택한 것,
http://www.hat-trickdesign.co.uk/include/inc_squeeze_project.asp?ProjectID=62
이 링크에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좀더 자세히 볼 수 있음
자연사 박물관은 5개의 존으로 나누어져있었다
Blue Zone : 공룡, 포유류, 인간, 해양 동물, 파충류 등
Green Zone : 조류, 곤충, 광물, 생태학
Red Zone : 테마 학습관들 (Earth Lab, Earth Today and Tomorrow, From the beginning, Volcano, Earthquakes 등)
Orange Zone : 박물관 건물과 이어진 다윈 센터 (찰스다윈의 표본 전시뿐 아니라 관련 연구에 대한 학습과 체험)
Wildlife Garden : 야외 정원
1880년대에 지어진 박물관 메인건물
중앙홀의 고풍스러운 건축양식, 유럽의 여느 고성당 못지않게 정성스럽게 지은것이 이 박물관의 수집품들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있는지가 느껴지는듯
그후에 2차로 최근에 완공된 부분, 전면 유리창안에 둥근 알 같은 부분을 cocoon이라고 부르는데 메인건물과는 완전히 다른 느낌을 준다. 이 부분은 다윈센터로 운영중인데 건물 외형에 맞게 최신 IT기술을 활용한 전시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입장 동선을 따라오다보면 펼쳐지는 정원
Wildlife Garden. 다양한 희귀종들이 정원을 이루고 있는데 나는 거의 겨울쯤에 간탓에 이미 식물들이 메말라가고 있었다. 11월이 되면 아예 문을 닫아두어 들어가볼수도 없다고 한다. 봄이나 가을에 가면 정말 좋을듯..
프랑스정원같은 인위적인 방식보다는 이렇게 무성하게 뒤엉켜있는 정원을 더 사랑한다
(물론 관람용 정원이 아니라 종보존을 위해 만들어둔 정원이라 더 그렇긴하지만)
내용이 너무 길어서 간단하게 하이라이트만 적어두고서 나머지 상세 후기는 또 접어두기 기능을 사용해야할것 같다
하이라이트 1) 거대 포유류 전시관
고래, 코끼리, 기린, 하마 등 거대한 포유류들의 실제 크기 모형이 전시되어있는 곳
꿈에서 또 보고 싶은 환상적인 풍경이다 ㅠㅠㅠㅠㅠ
실제로 보면 꽤 위협적인 크기의 하마나 코끼리도 흰수염고래옆에서는 그냥 귀여울 뿐이다
하이라이트2) 티라노사우루스
메인홀에 서있는 티라노사우루스 뼈!! (어디서 훔쳐온거지..)
여러 각도에서 촬영 시도해봤는데 커서 도저히 프레임 안에 다 담을수가 없었..
공룡관이 따로 있는데 그 안에 들어가려면 대략 한시간을 줄서있어야 한다고 해서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불현듯 몇년전 몽골 자연사박물관에서 봤던 공룡이 생각났다
너어무 허접하고 관리안되던 몽골의 자연사박물관 ㅋㅋㅋ 관광객도 거의 없지만 어차피 지키는 사람도 없어서 저렇게 신나게 만져볼수있다(?) 나도 그냥 무심하게 널려져있던 공룡뼈랑 알이랑 다 만져봄 (?)
사실 허접하긴해도 여기서 공룡들 구경하고서 고비사막투어때 공룡이 살던 한때 초원이던 곳을 직접 보면 감동이 어마어마한데 조금만 더 관리를 하면 좋을것을..
하이라이트 3) 기록전(?)
이 전시실의 이름도 모르겠고, 특별전인건지 상설전인건지도 모르겠지만, 자연의 역사를 기록하는 방식에 대한 테마로 꾸며진 작은 전시였다. Mapping - Recording - Sketch to Painting - Illustration - Photography 등 직접 표본을 수집하고 박제를 하는 방식 외의 조금은 부가적이라고 할수있는 영역에 대한 가치를 재조명하고 있었다. 내가 어릴때 이 전시를 봤다면 나는 왠지 이 길을 걷고 있지 않았을까 하는 묘한 기분이 들었다
하이라이트 4) Earth Hall
표본전시가 주를 이루는 그린, 블루존과는 다르게 레드존은 일단은 거대한 공간안에서 다양한 액티비티가 가능한 체험공간이 많다
그 입구에서 지구의 중심으로 빨려들어가는듯한 경험을 해볼수 있다. (아주 잠시. 놀이공원에 온듯한)
하이라이트 5) 뮤지엄 샵!
아이들 데리고 가면 진짜 큰일날것 같은 곳... 어른이 가도 빠져나올 수 없는 곳..
지구 자연 인간을 모티브로 한 온갖 장난감 책 소품이 망라되어있다.
하이라이트 5) 고대어&심해어 드로잉!
살아있는 표정의 재밌는 물고기들이 많았다. 나중에 캐릭터나 스토리 만들때 좋은 영감이 될듯
그리고 나머지 디테일한 후기들은 접어두기로..
1) 기록과 체험 방식
조류해부도감 한권을 보는듯 체계적으로 잘 정리되어있는 조류관
2) 멸종된 동물들 (궁금해서 인터넷에서 좀더 찾아봤다)
3) 어류&파충류&양서류 등
4)포유류관
5)지구와 환경에 대한 다양한 체험형 학습이 가능한 레드존
아 지친다..
6) 옆건물 다윈센터
갖고 싶은거 너어무 많았던 기념품샵
정말 힘들었던 자연사박물관..
보다가 지쳐서 복도벤치에서 1번 자세로 뻗어서 자고있었는데 직원이 와서 아파서 기절한줄알고 깨워줌 .
마구잡이로 대충 후기랑 사진 정리하는데에도 3일이 걸렸다.;;
후에 나의 경험디자인에 많은 영감과 도움이 되길 바라며..
'여행 > 14 LOND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NDON] 8. V&A Museum (2) 도자기, 유리, 가구, 무대미술, 샵 (0) | 2015.01.09 |
---|---|
[LONDON] 7. V&A Museum (1) (0) | 2015.01.01 |
[LONDON] 5. 예진이랑 드로잉 (0) | 2014.12.18 |
[LONDON] 4. redchurch, shoreditch (0) | 2014.12.18 |
[LONDON] 3. Spitalfield market, bricklane market (0) | 2014.12.18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전시] 110501 디자인앤아트페어 DAF 2011
'인사이트 >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 2016 타이포잔치 (0) | 2016.01.02 |
---|---|
[전시] 즐거운 나의 집 (0) | 2015.02.05 |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0) | 2015.01.27 |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0) | 2015.01.27 |
[전시] 훈데르트바서 - 우표에 대한 그의 철학 (0) | 2011.03.20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