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대학로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5.02.05 [전시] 즐거운 나의 집
- 2015.01.17 [대학로] Tashen
글
[전시] 즐거운 나의 집
150111
• 전시명: 즐거운 나의 집(Home, Where the Heart is)
• 전시기간: 2014년 12월 12일(금) - 2015년 2월 15일(일)
• 관람시간: 11:00-19:00(입장마감 18:30)
(매주 월요일 및 1월 1일 휴관, ‘문화가 있는 날’ 12월 31(수), 1월 28일(수) 9시까지 연장 운영)
• 관람료: 무료
• 전시장소: 아르코미술관 제 1,2 전시실, 2층 아카이브실 외부, 1층 스페이스 필룩스
• 도슨트 프로그램: 평일(화-금) 2, 4시 / 주말(토-일) 2, 4, 6시
(정규시간 이외의 투어는 사전 예약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02-760-4614)
•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 기획: (주)글린트
• 후원: 까사미아, 대림B&Co
• 문의: 아르코미술관 학예실 02-760-4608
http://www.arkoartcenter.or.kr/nr3/?c=2/12
• 참여작가 및 전문가
SOA, 구송이, 금민정, 김기조, 김승현, 도난주, 문성식, 박소연, 박창현, 박혜선, 백종관, 베리띵즈, 비주얼스프럼, 서승모, 서울소셜스탠다드, 스튜디오 152, 안지용, 염상훈, 옵티컬레이스, 우지현/최영준, 원경, 윤근주/황정환, 전창미, 정재호, 정진수, 조혜진, 한수정
아르코미술관은 2014년 기획 공모에 선정된 (주)글린트와의 협력기획전 <즐거운 나의 집>을 오는 12월 12일부터 내년 2월 15일까지 개최한다. <즐거운 나의 집>은 모두가 가지고 있는 ‘기억의 집’, ‘현재 사는 집’, ‘살아보고 싶은 꿈 속의 집’이라는 세 종류의 집을 미술관 1, 2층 뿐 아니라, 아카이브실 및 스페이스 필룩스까지 확장하여 전시한다. 시각예술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 10인과 건축가 그룹, 디자이너 그룹 및 만화가, 영화감독 등이 참여하며, 이 밖에 집과 관련된 서적 및 도큐멘테이션 등 다양한 아카이브 자료를 선보인다. <즐거운 나의 집>은 삶의 터전으로서의 집보다 '자산'으로서의 집만 생각하며 살아온 많은 사람들에게 ‘내 집은 어떠한지, 나의 삶은 어떠한지’ 스스로 묻고, 살아보고 싶은 이상적인 집을 어떻게 현실의 즐거운 나의 집으로 실현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즐거운 나의 집> 전시소개
• ‘집’에 대한 세 가지 이야기 - 살았던 집, 살고 있는 집, 살고 싶은 집
전시는 건축가 고 정기용이 언급한 ‘집’에 대한 이야기에서 출발한다. “우리 삶에는 유년시절을 보낸 기억의 집, 현재 사는 집, 살아보고 싶은 꿈 속의 집이 있다. 이 세 가지 집이 겹친 곳에 사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 그것이 불가능할 때는 현재의 ‘집’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야 한다.”
사람은 살면서 이렇듯 세 종류의 집에 살게 된다. 전시 <즐거운 나의 집>은 이렇게 모두가 가지고 있는 이 세 종류의 집이 미술관과 그 외의 공간에 조성되면서 건축 및 사진, 영상, 설치, 회화,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이 참여하여 상기한 세 가지 집에 대한 이야기들을 펼쳐 보이는 전시이다. 이 전시를 통해 누구나 마음속에 있는 집에 대한 추억을 떠올리며 지금의 집과 삶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살아보고 싶은 꿈 속의 집을 어떻게 현실의 ‘즐거운 나의 집’으로 실현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계기를 얻는다.
한편 전시와 함께 진행되는 부대행사인 워크숍 <어떤 집에 살고 싶으세요>를 통해 가족 또는 연인과 함께 가치관과 신념을 지켜가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시스템으로서 ‘즐거운 나만의 집’을 설계해 볼 수 있다. 실제 공간을 설계한다기 보다는 각자가 정의하는 ‘가족’을 형성하는 문화적 장치를 창조하는 데 의의를 둔다. 또한 전시 기간 중 열리는 두세 차례의 강연을 통해 건축으로서의 집이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 인문학적인 맥락에서 ‘가족’과 ‘집’이 지니는 함의를 깊이 있게 살펴본다.
• 전시제목, ‘즐거운 나의 집’
‘즐거운 나의 집’이라는 전시명은 집에 대한 일차적 반응을 ‘즐거움’에서 찾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으며, 고유한 가치가 상실되어 가고 점차 용도와 금전적 가치로 퇴색되어 가는 집에 대한 역설적 표현이기도 하다.
<즐거운 나의 집>은 전통적인 ‘가족’개념의 해체 위기와 이에 수반되는 주거문화의 변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상실해가는 근본적인 ‘집’의 의미, 구성원의 화합과 소통, 근원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물리적인 기본단위로서의 집을 보다 궁극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한 현미경이다. 즉, ‘집’의 기능, 그 안에서 파생되는 삶의 윤택함과 행복함에 대해 질문하고 그에 대한 각자의 기억과 경험을 소환하며, 이로 인해 관람객 각자가 그리는 ‘즐거운 집’을 재정의하고,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이 아닌 하나의 문화로서 각자의 신념과 가치관이 담긴 ‘즐거운 집’을 설계하는 데 힘을 보태는 전시이다.
□ <즐거운 나의 집> 전시구성 및 주요 작품
• ‘살았던 집’
제1전시실은 집을 이루고 있는 공간들을 다시 살펴보며, 공간을 통해 유년시절 기억의 집을 추억하는 곳이다. ‘미술관을 집으로 만든다’는 컨셉 하에 공간이 지니는 의미, 상징, 기억에 따라 각 공간을 분리하면서, 그에 걸맞은 작가들의 작품과 기억을 환기시킬 수 있는 설치, 그리고 집의 기능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집’으로 변모한 미술관 안에서 유발되는 행위들은 따뜻하고 즐거웠던 집의 기억을 소환하며, 집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그 기능성 이외에 다양한 감각들을 일깨우는 독특한 장치로 작용하고,나아가 각 구성원들의 내밀한 소통을 유발하는 촉매제로서의 또 다른 기능도 건축구조 및 시각예술 작품을 통해 경험할 수 있다.
꼭 다시 가지고 싶은 공간, 웅크릴수있는 다락방
• ‘살고 있는 집’
제2전시실에서는 다양한 미디어와 바닥에 맵핑된 그래픽컬한 좌표 등으로 제시되는 구체적인 통계, 실제사례를 통해 우리는 왜 이런 집에 살게 되었고, 어떤 집에서 살고 있는지,집을 둘러싼 여러 가지 사회적 이해관계를 객관적인 시각으로 직시하게 된다. 즉, 주택, 다세대주택, 아파트, 고시텔 등 다양한 주거형식을 상징하는 여러 개의 대문을 통해 입장하고 따라가면 소득수준, 경제적‧사회적 능력 등 구체적인 통계에 따라 현실적으로 구입 혹은 임대 가능한 주거형식이 정해진다. 이렇게 제 2전시실은 관객들 저마다 다른 환경적 요인에 의한 주거형태, 즉 대물림되거나 소득수준에 따라 결정지어지는 주거형태에 대한 현실을 직시한 이후, 어떠한 형태의 대안적인 집의 형태를 그려볼 수 있는지 판단의 척도가 된다.
• ‘살고 있는 집’에서 ‘살고 싶은 집’으로
아카이브실 외부에서는 살았던 집과 현실 속의 집을 경험한 관객들이 살고 싶은 집의 영역으로 진입하기 전에 잠시 쉬어갈 수 있게 조성된 별도의 휴게공간이다. 이곳에서 관객은 전시와 연계해 조성된 캐노피베드에 누워서 집과 관련된 소리들을 듣고, 영상이나 슬라이드로 상영되는 전시관련 도큐먼트를 접하며 앞선 체험들에 대해 환기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한다.
• ‘살고 싶은 집’
제3전시실(1층 스페이스 필룩스)에서는 앞서 제시한 현실적인 집의 대안적 형태로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대안주거형태의 사례들이 디자인물, 영상, 서적 등 도큐먼트로 선보여진다. 즉, 찰스 임스의 <House after five years of living>, 예스퍼 바하트마이스터의 <Microtopia>, 헬렌 & 스코트 니어링 <조화로운 삶>, 닉 올슨 & 릴라 호르위츠 <Makers>, 헨리 데이빗 소로우 <월든>, 구보타 히로유키 《셰어하우스》, 권산 《아버지의 집》 등 전시를 위해 리서치 한 50여권의 책들과 영상을 비치한다. 그리고 여러 가지 이유로 실현되지 못했지만 건축가와 건축주의 대화를 통한 삶의 기록으로 만들어진 집의 평면도를 함께 전시한다. 이와 더불어, 시민들이 참여하는 미래에 살고 싶은 집을 워크숍 형태로 진행하며 그 결과물을 함께 선보이는 관객참여형 전시공간을 마련한다. 즉, 실제 학생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어떤 집에 살고 싶으세요’ 워크숍을 통해 내가 살아보고 싶은 집을 구체적으로 그려보며 전시가 전달하고자 했던 ‘즐거운 나의 집’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한 번 정리한다. 그리고 그동안 건축가들과 참여자들이 만들어 낸 "살고 싶은 집" 결과물의 도면과 모형 사진, 이미지 등이 전시된다. 제 3전시실은 이렇듯 미래에 내가 살고 싶은 집, 자연발생적인 게토지역부터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가진 주택정책까지 다양한 대안적 주거 공간을 찾아볼 수 있는 공간이다.
□ 전시 연계 프로그램
[작가와의 대화]
참여작가: 베리띵즈, SOA, 옵티컬레이스, 정재호, 정진수
일시: 2014. 12. 20(토) 1pm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라운드테이블] 대안주택에 대한 현실적 모색
스피커: SAAI(이진오), SOA(강예린, 이치훈), OBBA(곽상준, 이소정), 효자동 건축(서승모), EMA건축(이은경)
일시: 2015. 1. 10(토) 1pm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강연] 내가 살고 싶은 집 >>>신청하기
강연자: 김서령(오래된 이야기 연구소 대표)
일시: 2015. 2. 7(토) 오후 2시로 변경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워크숍] 어떤 집에 살고 싶으세요
중고생이나 신혼부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살고 싶은 집'을 상상하고 설계해보는 워크숍
>>>워크숍을 신청하고 싶으신 분은 연락처와 함께 '살고 싶은 집'에 대한 생각 또는 신청동기를 적어 아르코미술관 이메일(arko_art@naver.com)로 보내주세요.
가족단위(신혼부부 포함) 대상
*최대 4팀 선착순 예약
일시: 12월 13일(토) 11am, 12월 20일(토) 11am, 1월 27일(화) 4pm 중 선택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 모든 워크숍이 마감되었습니다.
중고등학생 대상
*최대 10명 선착순 예약
일시: 2월 7일(토) 11am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 모든 워크숍이 마감되었습니다.
'인사이트 >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 151017 아티언스 대전 (0) | 2016.01.14 |
---|---|
[전시] 2016 타이포잔치 (0) | 2016.01.02 |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0) | 2015.01.27 |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0) | 2015.01.27 |
[전시] 110501 디자인앤아트페어 DAF 2011 (0) | 2011.05.0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대학로] Tashen
150111
대학로 타셴 (Tashen)
오늘도 익숙한 커피빈을 가려는 오빠와 새로운 카페를 가고싶어하는 나 사이의 미세한 신경전이 벌어진다
다행히 이번에도 대학로 커피빈은 만석(?) (그 어떤 동네보다 대학로 커피빈 건물이 젤 맘에 들긴하지만....겨울엔 비추)
자주다니던 길거리에서 처음 발견한 타셴 카페에 들어섰다
생긴지도 오래된것 같은데 내가 이런델 이제서야 발견했다는건 밖에서 풍기는 분위기에 문제가 있다는거 아닌가
그저그런 레스토랑겸 카페인줄 알았다 아이고
가격은 다른 카페들보다 1-2000원쯔음 비싸긴하지만 타셴의 아트북들을 실컷 볼 수 있으니 그 값을 하는것 같다
여기저기 널려있는 책들, 포장되어있는 책만 빼고선 마음껏 빼보아도 되는것 같다
볼때마다 딱히 정은 안가는 줄리안 오피(Julian Opie) 작품들
너무 인기많아서 어디가서 좋아한다고 말하기도 참 뭐시기한 클림트
황금 시리즈도 좋지만 인물화나 풍경화가 더 좋다
사진 화질이 구리지만 기억해뒀다가 나중에 실물로 보아야지, 이번 여행에서는 클림트 작품 하나도 못봤다. 어딨길래 하나도 안나타나나 봤더니 주로 오스트리아 혹은 독일에 갇혀있어서 서쪽에서는 안나타났었던듯
건축에는 티끌만큼의 관심도 없었는데 가우디(Gaudi)와 산티아고 칼라트라바 (Santiago Calatrava) 덕에 조금씩 매력을 발견 시작.
스페인 발렌시아를 방문한 이유도 사실은 칼라트라바의 예술과학도시 CAC (Ciudad de las Artes y las Ciencias)를 직접 보기 위해서였다
예술과학도시 단지 내의 건물들은 바다의 생물들을 모티브로 했다.
디자인도 파격이지만 저 구조가 공학적으로 무리없이 완벽한 상태라는 것이 더 놀라울 뿐
표지와 패키지는 너무 아름다운데 내용은 막상 별로인 책들, 그래도 장식용으로라도 사고 싶다아
'오늘하루 >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1월 일상 (2) (0) | 2015.08.30 |
---|---|
2015년 1월 일상 (1) (0) | 2015.03.14 |
2014년 12월 일상 (2) (0) | 2015.01.12 |
2014년 12월 일상 (1) (0) | 2015.01.12 |
[한남동] cafe jiny (0) | 2014.04.13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