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전시 2018. 1. 6. 01:50

2015년 전시 결산

전시
분류번호날짜제목장소전시 링크
전시1150108로우테크놀로지시립미술관http://sema.seoul.go.kr/korean/exhibition/exhibitionView.jsp?iPage=1&iListCont=10&sSrchType=x&sSrchValu=&iTcnt=2&iPageCont=10&iCurrPage=1&pDateGubun=PREV&seq=379&sStartDate=&sEndDate=&sSrchValuEx=%EB%A1%9C%EC%9A%B0
전시2150108아프리카 나우시립미술관http://sema.seoul.go.kr/korean/exhibition/exhibitionView.jsp?iPage=1&iListCont=10&sSrchType=x&sSrchValu=&iTcnt=2&iPageCont=10&iCurrPage=1&pDateGubun=PREV&seq=379&sStartDate=&sEndDate=&sSrchValuEx=%EB%A1%9C%EC%9A%B0
전시3150111즐거운 나의 집아르코미술관http://www.arkoartcenter.or.kr/nr3/?c=2/12
전시4150129인상파의 고향, 노르망디예술의 전당http://www.sac.or.kr/program/schedule/view.jsp?seq=18238&s_date=20141122
전시5150205무나씨 : 정말이지 너는구슬모아당구장 갤러리http://daelimmuseum.org/guseulmoa/index.do
전시6150404빠키 : 불완전한 장치구슬모아당구장 갤러리http://daelimmuseum.org/guseulmoa/index.do
전시7150508진달래, 박우혁 :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구슬모아당구장 갤러리http://daelimmuseum.org/guseulmoa/index.do
전시8150508로봇에세이, 정원원, 인터플레이 등국립현대미술관http://www.mmca.go.kr/exhibitions/exhibitionsDetail.do?menuId=1030000000&exhId=201504230000245
전시9150509루이비통 시리즈 2 광화문 D타워http://kr.louisvuitton.com/kor-kr/fashion/series-2-exhibition#/exhibition
전시10150509우주생활일민미술관http://ilmin.org/education/lecture/4180-2/
전시11150509Butterfly 2015 : Wearable Technology Art아트센터 나비http://www.nabi.or.kr/project/current_read.nab?list_num=1&idx=487&
전시12150517하나에서 만까지이응노 미술관http://ungnolee.daejeon.go.kr/
전시13150622제로랩 : 사선에 대하여구슬모아당구장 갤러리http://daelimmuseum.org/guseulmoa/index.do
뮤지엄14150624오설록 티뮤지엄제주http://www.osulloc.com/tMuseum.do?method=bbsEventList&tpUpCd=BD07
뮤지엄15150625테디베어 뮤지엄제주http://www.teddybearmuseum.com/
전시16150702페르난도 보테로 전예술의 전당http://www.sac.or.kr/bannerPage.jsp?htmlURL=/lab2015/botero/index.jsp
전시17150706ESPRIT DIOR : 디올정신DDPhttp://www.dior.com/beauty/ko_kr/dp/espritdior.html
전시18150719앤디워홀 라이브DDPhttp://www.ddp.or.kr/EP010001/getDetailPage.do
전시19150801신기계미학신세계갤러리http://department.shinsegae.com/culture/gallery/displayinfo/displayinfo_view.jsp?store_cd=D01&seq=4481
전시20150802김미수, 김영준 : 있음과 없음구슬모아당구장 갤러리http://daelimmuseum.org/guseulmoa/index.do
뮤지엄21150916지질박물관대전http://museum.kigam.re.kr/
전시22151004조규형 : 그림서체 - 키보드 장단에 변신하는 한글구슬모아당구장 갤러리http://daelimmuseum.org/guseulmoa/index.do
전시23151014에꼴 드 이응노 - 파리동양미술학교이응노 미술관http://ungnolee.daejeon.go.kr/
전시24151017아티언스대전한국표준과학연구원http://blog.naver.com/artiencelab
페스티벌, 전시25151017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대전 엑스포 시민공원http://www.djsf.kr/main/main.htm
페스티벌, 전시26151126ACT FESTIVAL국립아시아문화전당http://actcenter.kr/ko/
전시27151225오민 : TRIO구슬모아당구장 갤러리http://daelimmuseum.org/guseulmoa/index.do
전시28151226타이포잔치문화역서울 284http://typojanchi.org/2015/

나름 바지런하게 대전과 서울을 오가며 전시 보러 다녔었던 2015년

인사이트/전시 2016. 1. 14. 04:05

[전시] 151017 아티언스 대전

'인사이트 >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전시 결산  (0) 2018.01.06
[전시] 2016 타이포잔치  (0) 2016.01.02
[전시] 즐거운 나의 집  (0) 2015.02.05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0) 2015.01.27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0) 2015.01.27
인사이트/전시 2016. 1. 2. 14:58

[전시] 2016 타이포잔치


2015년 12월 26일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2016 타이포 비엔날레

인사이트/전시 2015. 2. 5. 15:09

[전시] 즐거운 나의 집

150111




 전시명: 즐거운 나의 집(Home, Where the Heart is)

 전시기간: 2014 12 12() - 2015 2 15()

 관람시간: 11:00-19:00(입장마감 18:30)

(매주 월요일 및 1 1일 휴관, ‘문화가 있는 날’ 12 31(), 1 28() 9시까지 연장 운영)

• 관람료: 무료

 전시장소: 아르코미술관 제 1,2 전시실, 2층 아카이브실 외부, 1층 스페이스 필룩스

• 도슨트 프로그램: 평일(화-금) 2, 4시 / 주말(토-일) 2, 4, 6시 

(정규시간 이외의 투어는 사전 예약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02-760-4614)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기획: ()글린트

 후원: 까사미아, 대림B&Co

 문의: 아르코미술관 학예실 02-760-4608


http://www.arkoartcenter.or.kr/nr3/?c=2/12


 참여작가 및 전문가

SOA, 구송이, 금민정, 김기조, 김승현, 도난주, 문성식, 박소연, 박창현, 박혜선, 백종관, 베리띵즈, 비주얼스프럼, 서승모, 서울소셜스탠다드, 스튜디오 152, 안지용, 염상훈, 옵티컬레이스, 우지현/최영준, 원경, 윤근주/황정환, 전창미, 정재호, 정진수, 조혜진, 한수정


 

아르코미술관은 2014년 기획 공모에 선정된 ()글린트와의 협력기획전 <즐거운 나의 집>을 오는 12 12일부터 내년 2 15일까지 개최한다. <즐거운 나의 집>은 모두가 가지고 있는 ‘기억의 집’, 현재 사는 집’, 살아보고 싶은 꿈 속의 집이라는 세 종류의 집을 미술관 1, 2층 뿐 아니라, 아카이브실 및 스페이스 필룩스까지 확장하여 전시한다. 시각예술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 10인과 건축가 그룹, 디자이너 그룹 및 만화가, 영화감독 등이 참여하며, 이 밖에 집과 관련된 서적 및 도큐멘테이션 등 다양한 아카이브 자료를 선보인다. <즐거운 나의 집>은 삶의 터전으로서의 집보다 '자산'으로서의 집만 생각하며 살아온 많은 사람들에게 ‘내 집은 어떠한지, 나의 삶은 어떠한지’ 스스로 묻고, 살아보고 싶은 이상적인 집을 어떻게 현실의 즐거운 나의 집으로 실현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즐거운 나의 집전시소개

 

 에 대한 세 가지 이야기 - 살았던 집, 살고 있는 집, 살고 싶은 집

전시는 건축가 고 정기용이 언급한 에 대한 이야기에서 출발한다. 우리 삶에는 유년시절을 보낸 기억의 집, 현재 사는 집, 살아보고 싶은 꿈 속의 집이 있다. 이 세 가지 집이 겹친 곳에 사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 그것이 불가능할 때는 현재의 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야 한다.”

사람은 살면서 이렇듯 세 종류의 집에 살게 된다. 전시 <즐거운 나의 집>은 이렇게 모두가 가지고 있는 이 세 종류의 집이 미술관과 그 외의 공간에 조성되면서 건축 및 사진, 영상, 설치, 회화,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이 참여하여 상기한 세 가지 집에 대한 이야기들을 펼쳐 보이는 전시이다. 이 전시를 통해 누구나 마음속에 있는 집에 대한 추억을 떠올리며 지금의 집과 삶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살아보고 싶은 꿈 속의 집을 어떻게 현실의 즐거운 나의 집으로 실현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계기를 얻는다.

한편 전시와 함께 진행되는 부대행사인 워크숍 <어떤 집에 살고 싶으세요>를 통해 가족 또는 연인과 함께 가치관과 신념을 지켜가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시스템으로서 즐거운 나만의 집을 설계해 볼 수 있다. 실제 공간을 설계한다기 보다는 각자가 정의하는 가족을 형성하는 문화적 장치를 창조하는 데 의의를 둔다. 또한 전시 기간 중 열리는 두세 차례의 강연을 통해 건축으로서의 집이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 인문학적인 맥락에서 가족 이 지니는 함의를 깊이 있게 살펴본다.  

 


 전시제목, ‘즐거운 나의 집

즐거운 나의 집이라는 전시명은 집에 대한 일차적 반응을 즐거움에서 찾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으며, 고유한 가치가 상실되어 가고 점차 용도와 금전적 가치로 퇴색되어 가는 집에 대한 역설적 표현이기도 하다.

<즐거운 나의 집>은 전통적인 가족개념의 해체 위기와 이에 수반되는 주거문화의 변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상실해가는 근본적인 의 의미, 구성원의 화합과 소통, 근원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물리적인 기본단위로서의 집을 보다 궁극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한 현미경이다. , ‘의 기능, 그 안에서 파생되는 삶의 윤택함과 행복함에 대해 질문하고 그에 대한 각자의 기억과 경험을 소환하며, 이로 인해 관람객 각자가 그리는 즐거운 집을 재정의하고,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이 아닌 하나의 문화로서 각자의 신념과 가치관이 담긴 즐거운 집을 설계하는 데 힘을 보태는 전시이다

 

 


 

□ <즐거운 나의 집전시구성 및 주요 작품

 

 살았던 집

1전시실은 집을 이루고 있는 공간들을 다시 살펴보며, 공간을 통해 유년시절 기억의 집을 추억하는 곳이다. ‘미술관을 집으로 만든다는 컨셉 하에 공간이 지니는 의미, 상징, 기억에 따라 각 공간을 분리하면서, 그에 걸맞은 작가들의 작품과 기억을 환기시킬 수 있는 설치, 그리고 집의 기능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으로 변모한 미술관 안에서 유발되는 행위들은 따뜻하고 즐거웠던 집의 기억을 소환하며, 집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그 기능성 이외에 다양한 감각들을 일깨우는 독특한 장치로 작용하고,나아가 각 구성원들의 내밀한 소통을 유발하는 촉매제로서의 또 다른 기능도 건축구조 및 시각예술 작품을 통해 경험할 수 있다.









꼭 다시 가지고 싶은 공간, 웅크릴수있는 다락방










 살고 있는 집

2전시실에서는 다양한 미디어와 바닥에 맵핑된 그래픽컬한 좌표 등으로 제시되는 구체적인 통계, 실제사례를 통해 우리는 왜 이런 집에 살게 되었고, 어떤 집에서 살고 있는지,집을 둘러싼 여러 가지 사회적 이해관계를 객관적인 시각으로 직시하게 된다. , 주택, 다세대주택, 아파트, 고시텔 등 다양한 주거형식을 상징하는 여러 개의 대문을 통해 입장하고 따라가면 소득수준, 경제적사회적 능력 등 구체적인 통계에 따라 현실적으로 구입 혹은 임대 가능한 주거형식이 정해진다. 이렇게 제 2전시실은 관객들 저마다 다른 환경적 요인에 의한 주거형태, 즉 대물림되거나 소득수준에 따라 결정지어지는 주거형태에 대한 현실을 직시한 이후, 어떠한 형태의 대안적인 집의 형태를 그려볼 수 있는지 판단의 척도가 된다.












 살고 있는 집에서 살고 싶은 집으로

아카이브실 외부에서는 살았던 집과 현실 속의 집을 경험한 관객들이 살고 싶은 집의 영역으로 진입하기 전에 잠시 쉬어갈 수 있게 조성된 별도의 휴게공간이다. 이곳에서 관객은 전시와 연계해 조성된 캐노피베드에 누워서 집과 관련된 소리들을 듣고, 영상이나 슬라이드로 상영되는 전시관련 도큐먼트를 접하며 앞선 체험들에 대해 환기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한다.







 살고 싶은 집

3전시실(1층 스페이스 필룩스)에서는 앞서 제시한 현실적인 집의 대안적 형태로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대안주거형태의 사례들이 디자인물, 영상, 서적 등 도큐먼트로 선보여진다. , 찰스 임스의 <House after five years of living>, 예스퍼 바하트마이스터의 <Microtopia>, 헬렌 & 스코트 니어링 <조화로운 삶>, 닉 올슨 & 릴라 호르위츠 <Makers>, 헨리 데이빗 소로우 <월든>, 구보타 히로유키 《셰어하우스》, 권산 《아버지의 집》 등 전시를 위해 리서치 한 50여권의 책들과 영상을 비치한다. 그리고 여러 가지 이유로 실현되지 못했지만 건축가와 건축주의 대화를 통한 삶의 기록으로 만들어진 집의 평면도를 함께 전시한다. 이와 더불어, 시민들이 참여하는 미래에 살고 싶은 집을 워크숍 형태로 진행하며 그 결과물을 함께 선보이는 관객참여형 전시공간을 마련한다. , 실제 학생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어떤 집에 살고 싶으세요 워크숍을 통해 내가 살아보고 싶은 집을 구체적으로 그려보며 전시가 전달하고자 했던 즐거운 나의 집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한 번 정리한다. 그리고 그동안 건축가들과 참여자들이 만들어 낸 "살고 싶은 집" 결과물의 도면과 모형 사진, 이미지 등이 전시된다.  3전시실은 이렇듯 미래에 내가 살고 싶은 집, 자연발생적인 게토지역부터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가진 주택정책까지 다양한 대안적 주거 공간을 찾아볼 수 있는 공간이다.






□ 전시 연계 프로그램


[작가와의 대화] 

참여작가: 베리띵즈, SOA, 옵티컬레이스, 정재호, 정진수

일시: 2014. 12. 20() 1pm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라운드테이블] 대안주택에 대한 현실적 모색 

스피커: SAAI(이진오), SOA(강예린, 이치훈), OBBA(곽상준, 이소정), 효자동 건축(서승모), EMA건축(이은경)

일시: 2015. 1. 10() 1pm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강연] 내가 살고 싶은 집  >>>신청하기

강연자: 김서령(오래된 이야기 연구소 대표)

일시: 2015. 2. 7(토) 오후 2시로 변경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워크숍] 어떤 집에 살고 싶으세요

중고생이나 신혼부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살고 싶은 집'을 상상하고 설계해보는 워크숍 

>>>워크숍을 신청하고 싶으신 분은 연락처와 함께 '살고 싶은 집'에 대한 생각 또는 신청동기를 적어 아르코미술관 이메일(arko_art@naver.com)로 보내주세요.  


가족단위(신혼부부 포함) 대상

 *최대 4팀 선착순 예약

일시: 12 13() 11am, 12 20() 11am, 1 27() 4pm 중 선택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 모든 워크숍이 마감되었습니다.


중고등학생 대상

*최대 10명 선착순 예약

일시: 2 7() 11am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 모든 워크숍이 마감되었습니다.

 


인사이트/전시 2015. 1. 27. 23:18

[전시]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150118


아프리카 나우: Political Patterns


전시기간     2014-12-16 ~ 2015-02-15

전시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2-3층

참여작가    곤살로 마분다, 논시케렐로 벨레코, 닉 케이브, 라시드 코라이시, 라일 애쉬톤 해리스, 린다 데이 클락, 빅터 에크푹, 스티븐 버크스, 아드모어 세라믹 아트, 안톤 카네마이어, 우블레 비즈, 잉카 쇼니바레, 조디 비버, 조엘 안드리아노메아리소아, 존 아캄프라, 케빈 비즐리, 케힌데 와일리, 크리스 오필리, 티에스터 게이츠, 행크 윌리스 토마스, 히스 내쉬

도슨트        11시, 14시, 16시

관람료        무료


<아프리카 나우>는 아프리카의 정치적 상황과 전통문양의 의미론적, 심미적 교차점에 위치하는 작가 20여명의 작품 100여점으로 구성되어, 아프리카에 뿌리를 둔 동시대 미술을 소개하고 탈식민주의, 디아스포라, 다문화주의에 근간한 그들의 예술적 지표를 제시하는 전시이다. 


대표 작가로는 80년대부터 영화를 통해 흑인 인권문제를 다루어온 존 아캄프라, 아프리카천을 입은 마네킹을 통해 백인 중심 문화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가한 잉카 쇼니바레, 2003년 베니스비엔날레 영국 대표작가로 참여한 크리스 오필리 등의 영국 작가,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통한 비판적 개입으로 유명한 티에스터 게이츠, 장식적 배경 앞에 영웅적 포즈를 취한 거리의 흑인들을 그린 케힌데 와일리, 광고사진을 통해 인종문제를 다루어온 행크 윌리스 토마스, 아프리카 제식을 연상시키는 가면과 의상을 입고 퍼포먼스를 펼치는 닉 케이브 등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흑인 작가 그리고 아프리카에 거주하며 후기식민시대 아프리카 대륙 내의 민족주의나 종교분쟁에 관한 서사를 다루는 곤살로 마분다, 조디 비버, 논시케렐로 벨레코 등이 포함된다. 


이번 전시는 유럽 및 미국의 제국주의와 노예제도에서 비롯된 흑인 디아스포라 예술의 의의를 고찰하고 탈식민주의의 근간을 탐구하여 서구중심 사상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한다. 이와 함께, 전시 연계 학술행사인 <글로벌 문화형성과 디아스포라의 기억들: 이주, 문화지리, 문화정체성>에서는 전 지구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인종문제 및 다민족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점검해 봄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점차 본격화되고 있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의식과 이에 따른 글로벌 문화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논의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인사이트/전시 2015. 1. 27. 23:13

[전시] LOW TECHNOLOGY : 미래로 돌아가다

150118



로우테크놀로지: 미래로 돌아가다


전시기간     2014-12-09 ~ 2015-02-01

전시장소     서울시립 미술관 서소문본관

전시시간     화~금 10:00~20:00, 토・일・공휴일 10: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1・3주 화요일 뮤지엄데이 22:00까지

참여작가     육태진, 홍성도, 문주, 김태은, 박기진, 신성환, 양정욱, 이배경, 이병찬, 이예승, 이원우, 정성윤, 정지현

관람료        무료


홈페이지     sema.seoul.go.kr


터치스크린, 구글 행아웃, 3D미니어처, 사물인터넷 등 각종 최첨단 테크놀로지들이 보편화되고 일상생활에서 구현되는 시대에 오히려 움직임의 기원이나 기계적인 매커니즘에 경도되는 최근 미술의 단면을 보여주는 <로우 테크놀로지: 미래로 돌아가다>展를 준비한다. 첨단의 하이 테크놀로지들이 만개한 시대에 로우 테크놀로지를 고민하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왜 젊은 예술가들은 로우 테크놀로지에 관심을 갖는가, 나아가 테크놀로지는 예술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라는 물음들에서 이 전시는 시작한다. 


테크놀로지가 발전하면서 미술은 변해왔다. 물감과 염료 기술의 발전으로 회화 기법이 발전해왔고, 기술복제시대가 낳은 사진과 영화는 필연적으로 미술의 방향을 미술이라는 매체 자체에 대한 탐구의 여정으로 바꾸어냈으며, 0과 1이라는 디지트에 의해 비물질화되고 융합되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미술을 ‘데이터와 알고리듬에 기반한 데이터의 변형’이라는 전혀 새로운 조건 아래 놓는다. 물론 그러한 수많은 갈래의 변화양상들을 단순화하기 어렵고, 미술의 변화가 단지 기술이라는 요인만으로 추동되지도 않는다. 하지만 그 모든 미술 자체 변화의 흐름에 기술은 그 배경과 조건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세계적인 IT 강국으로 꼽히며 얼리 어답터들이 넘쳐나는 한국에서 특히 젊은 작가들이 이러한 기술적인 변화와 그것이 만들어내는 예술・사회적 환경에 둔감할 리 없다. 예술과 기술이 서로를 간섭하고 넘나드는 현실 속에서 중요한 것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기술의 뼈대로 돌아가 그것을 사유하는 일이다. 도구적 목적을 벗어난 예술적 기술의 가능성을 희망했던 하이데거가 테크놀로지가 테크네(techné)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듯이 말이다. 그는 고대 그리스의 테크네 개념에는 수공적인 기술의 의미뿐만 아니라 고차원적 예술(포이에시스, Poiesis)의 의미, 그리고 인식을 해명하며 열어젖히는 탈은폐의 힘까지 들어있다고 보았다. 기술을 기술로서 넘어서는 하이데거의 고민을 김태은, 박기진, 신성환, 양정욱, 이배경, 이병찬, 이예승, 이원우, 정성윤, 정지현 10명의 젊은 예술가들의 작업과 그에 선행하는 육태진, 문주, 홍성도의 작업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기계적인 매커니즘 자체에 집중하면서도 일상과 연결시켜 테크놀로지의 기능을 변환 시키는 정지현・양정욱,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현실과 가상, 과학과 예술의 경계를 묻는 김태은・박기진, 단순한 기술을 이용해 몽상적이고 유머러스한 공간을 만들어내는 신성환・이원우, 기술을 통해 현대의 메트로폴리스적 삶의 단편들을 은유하는 이배경・이병찬, 그리고 관람객의 참여로 완성되는 기계장치를 통해 매체 자체를 생각하게 만드는 정성윤・이예승까지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10명의 젊은 작가들은 저마다 테크놀로지들과의 결합을 통해 시각적이고 지적인 고민과 유희를 지닌 작품을 선보일 것이다. 


특히 겨울 방학을 맞이하여 관람객들이 작품의 일부를 전시장에서 직접 조작해 봄으로써 로우 테크놀로지를 고안하고 작동시키는 작가들의 창작 과정-형상화, 패턴화, 유추, 모형, 놀이, 변형, 통합 등-에 참여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로우 테크놀로지와 하이 테크놀로지, 즉, 낡은 매체와 새로운 매체는 서로 모순과 대립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맺어간다. 서로 내용이 되기도 하고, 형식이 되기도 하며 낡음과 새로움의 관계를 끊임없이 현재를 재정립해가는 셈이다. 지금, 여기의 로우 테크놀로지 미학을 점검해봄으로써 이 시대 테크놀로지와 예술이 갖는 의미와 방향에 대해 성찰해보고자 한다.


















인사이트/전시 2011. 5. 2. 21:20

[전시] 110501 디자인앤아트페어 DAF 2011



인사이트/전시 2011. 3. 20. 01:01

[전시] 훈데르트바서 - 우표에 대한 그의 철학



2010.3.13 훈데르트바서 展




The stamp is an important object.

우표는 중요한 소재이다.

Although very small in format, it carries a message.

그 작고도 작은 크기 안에 결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Stamps are a measure of the culture of a country.

우표는 문화의 척도이다.

This tiny, rectangular piece of paper links the hearts of the sender and receiver.

이 작은 사각형은 보내는 이와 받는 이 사이에 놓은 거리를 줄여주면서 둘 사이의 마음을 연결해준다

It is a bridge between peoples and nations.

이는 사람과 국가간의 다리이다

The stamp knows no borders.

우표는 모든 국경을 지날 수 있다

It reaches us even in prisons, asylums, and hospitals, and wherever we may be on earth.

우표는 감옥이든, 정신병원이든 지구상에 우리가 있는 어느 곳에나 다다를 수 있다.

Stamps should be ambassadors of art and life and not simply soulless proofs of postage paid.

우표는 단순히 우편물을 보내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의미 없는 영수증이 아닌, 예술과 삶의 사절단이 되어야한다

The stamp must experience its destiny.

우표는 그 운명을 경험해야만 한다

A true stamp must feel the tongue of the sender moistening its gum.

진정한 우표는 보내는 사람이 뒷면에 풀을 핥을 때 그 혀를 느껴야 한다

A stamp must be stuck on a letter.

편지 위에 달라붙어 있어야하며,

A stamp must experience the dark depths of the post box.

우편박스 안의 어둠을 경험해야 하며,

A stamp must suffer franking.

우표는 소인이 찍히는 것을 참아야 하며,

A stamp must travel in company with other letters in mail sacks by ship, by air, by road.

우편물 가방안에서 다른 편지들과 함께 기차, 자동차, 비행기를 타고 여행해야 하며,

A stamp must feel the hand of the mailman delivering the letter to the receiver.

받는 사람에게 편지를 건내는 우편배달부의 손을 느껴야 한다

A stamp that has not been posted is no stamp, it has never lived, it is a fake.

편지에 붙여져 보내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우표가 아니며, 살아있는 것이 아니다. 가짜일 뿐이다.

It is a fish that never swam, it is a bird that never flew.

한번도 헤엄쳐보지 않은 물고기와 같으며 한번도 날아보지 못한 새와 같다

A stamp must have lived as a stamp…

우표는 우편 우표로서 살아있어야 한다

The stamp is the only work of art that everyone can own, 

young and old, rich and poor, healthy and sick, educated and ignorant, free or robbed of freedom…

우표는 어린아이와 노인, 가난한 자와 부자, 건강한 자와 아픈 자, 지식인과 배우지 못한 자, 자유로운 자와 자유를 박탈당한 자 할것 없이 

모든 사람들이 소유할 수 있는 유일한 예술 작품이다

2-14-1990 Hundertwasser